본문 바로가기

유체역학6

6. Viscosity는 왜 생길까? Viscosity는 cohesive force와 momentum transfer에 의해 발생한다. 액체는 cohesive force가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기체의 경우는 momentum transfer가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액체는 밀도가 매우 높아 분자끼리 밀접하게 접촉해 있으므로, 접착력이, 기체는 분자 간의 거리가 멀어 충돌에 의한 momentum transfer가 우세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차이로 인해 온도에 대한 액체와 기체의 viscosity response가 상반된다. 1. 액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면 유체를 구성하는 분자끼리 접촉해 있으면서 생기는 안정화 에너지가 감소한다. 즉 접착력이 감소하고, viscosity는 감소한다. 2. 기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면 기체 분자의 therma.. 2021. 6. 29.
5. 평판 사이의 유동과 Viscosity(점도) 고정된 아래 평판과 plate velocity v 로 움직이는 평판 사이 존재하는 유체에 대해 생각해보자. 두 평판 사이 간격은 h이고, 유체가 양 평판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그림과 같은 속도 분포가 나타날 것이다. 2021. 6. 29.
4. Shear stress Shear force가 가해지면 유체는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유체에 Shear force가 작용할 때 연속적인 속력의 변화를 야기시킨다. 단위 면적 당 surface에 작용하는 힘인 shear stress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대부분의 유체, 즉 Newtonian fluids의 경우에는 유체에 작용된 shear stress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률 사이 선형비례관계가 성립된다. 이 때, 비례상수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2021.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