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체역학

6. Viscosity는 왜 생길까?

by 화공생명공학과 19학번 2021. 6. 29.

Viscositycohesive forcemomentum transfer에 의해 발생한다.

 

액체는 cohesive force가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기체의 경우는 momentum transfer가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액체는 밀도가 매우 높아 분자끼리 밀접하게 접촉해 있으므로, 접착력이, 기체는 분자 간의 거리가 멀어 충돌에 의한 momentum transfer가 우세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차이로 인해 온도에 대한 액체와 기체의 viscosity response가 상반된다.

 

1. 액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면 유체를 구성하는 분자끼리 접촉해 있으면서 생기는 안정화 에너지가 감소한다. 즉 접착력이 감소하고, viscosity는 감소한다.

 

2. 기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면 기체 분자의 thermal energy가 증가해 충돌 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momentum transfer가 증가하고, viscosity는 증가한다.

'유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평판 사이의 유동과 Viscosity(점도)  (0) 2021.06.29
4. Shear stress  (0) 2021.06.29
3. Forces on continuum  (0) 2021.06.29
2. Continuum and particles  (0) 2021.06.29
1. Fluid와 solid의 차이  (0) 202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