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Chapter10. 카복실산과 그 유도체2 카복실산과 유도체 연습 1. 에스터 (ester) (1) Fisher esterification으로 ethylpentanoate 합성 (2) nucleophilic acyl substitution으로 ethyl acetate 합성하는 메커니즘 (3) methyl benzoate의 비누화 반응 (4) 가암모니아 분해 (5) ester와 Grignard 시약의 반응 2. 락톤 (lactone) 3. 할로젠화 아실(acyl halide) (1) acetic alcohol - acetyl cloride - acetic acid (2) benzoic acid - benzoyl chloride - methyl benzoate (3) acetyl chloride - acetamide (4) butanoic acid - butaonyl ch.. 2020. 6. 1. Carboxylic Acid 1. 산의 물리적 성질 1) 분자량이 작은 카복실산: 무색 액체, 불쾌한 냄새 2) 극성을 띤다. 다른 분자와 수소결합을 한다. 분자량이 비슷한 알코올의 끓는점보다 높다. 3) 전자가 풍부한 산소와 전자가 부족한 수소 사이에서 두 개의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안정한 이합체(dimer)를 형성한다. 2. 카복실산은 왜 산성인가 1) 카복실산은 물에서 해리되어 카복실산 음이온(carboxyl anion)과 하이드로늄 이온(hydronium ion)으로 된다. 2) 카르복시 음이온의 공명 현상 ethoxide ion에서는 음전하는 1개의 산소 원자 위에만 편재되어 있다. 반면에 acetate ion에서는 음전하가 acetate의 산소 원자 두개에 균일하게 퍼져 있으며 따라서 아세트 음이온의 공명현상에 의해 eth.. 2020. 6. 1. 이전 1 다음